자동차 개별소비세 (계산)
코로나로 인해 내수경기가 침체된 것에 대해 정부에서 많은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 중의 하나가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자동차 세금 감면 혜택)입니다.
자동차업계가 지금 많이 힘들기에, 사람들이 지갑을 열수 있도록 자동차 구매시 개별소비세 인하를 70%까지 해주는 파격적인 혜택을 2020년 6월말까지 진행했었습니다.
이러한 파격적인 혜택 덕분에 6월 자동차 시장은 전년대비 판매량이 더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6월말까지 진행된 70%의 개별소비세 인하는 이제 끝났고, 7월부터는 개별소비세 인하가 연말까지 이어지는데 대신 30%의 개별소비세 인하가 이어진다고 합니다.
이 기회에 자동차를 구매하시려는 분들이 분명 계실텐데요.(2020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혜택 때문에)
자동차 구매시 발생하는 세금에 대해 다시한번 짚어보고, 개별소비세 인하 적용시 얼마의 할인혜택이 있는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구매에 발생하는 세금 (개별소비세 인하 적용시)
자동차를 구매하면 발생하는 세금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아래에 3가지가 이에 해당됩니다.
1) 개별소비세 = 차량 출고가의 5% 금액
2) 교육세 = 개별소비세의 30% 수준
3) 부가가치세 = ( 개별소비세 + 교육세 + 차량출고가 ) 의 10% 수준
위와 같이 세금이 부과됩니다. 자동차 자체가 워낙 고가의 금액이지만 세금까지 더해지면 자동차 구매액은 자동차 출고가격 + 세금 까지 합해져야 맞습니다.
내야하는 자동차 세금중의 개별소비세가 가장 큰 부담금인데, 정부에서 코로나 이슈로 인해 2020년 6월 말까지 개별소비세를 70% 인하(한도 100만원)해주었었죠.
현재는 연말까지 개별소비세 인하를 30%로 낮췄습니다.(자동차 세금 감면 목적)
6월말까지 개별소비세를 70%까지 인하해줘서 자동차 업계는 6월에 때아닌 호황을 잠깐 맞이했습니다.
확실히 정부의 개별소비세 할인이 국민들에게 어필이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2020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소식)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자동차 세금 감면)이 실제 어느정도였는지 계산 한번 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3천만원 출고가격의 차를 샀다고 치면,
> 차량 구매가격 : 3천만원
> 차량 개별소비세 : 150만원 (3천만원의 5% 금액)
150만원의 개별소비세를 70% 인하하면 45만원만 내면 된다는 의미이다. 여기에서만 105만원이 절약됩니다.
확실히 70%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이 컸지만, 아쉽게도 현재는 개별소비세 인하 폭이 30%로 바뀌었습니다.(위의 기획재정부 공지 참조)
다만 한도 금액은 종전 100만원에서 143만원으로 늘어났다. 개별소비세 인하가 연말까지 이어진다고 하니 자동차 구매에 관심있는 분은 꼭 올해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올해 구매하셔야 그나마 자동차 세금 감면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겁니다.
개별소비세 외에 발생하는 자동차세금 총정리
개별소비세가 이슈어서 개별소비세 인하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려드렸지만, 자동차 구매시 붙는 세금은 여러가지 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한눈에 이해하실 수 있을것 같습니다.
위에서 알려드린 내용 중에 개별소비세, 교육세, 부가기치세는 차량 구입시 붙는 세금입니다.
여기에 더해 차량을 구매하고 나면 차량을 등록해야합니다. 이때 발생하는 세금이 취득새와 준조세 입니다.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동차 구매로 생각보다 많은 세금을 내게 됩니다. 그래서 자동차 세금 감면 정책이 뭐가 있는지 차 구매하기 전에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차량을 구매이후 계속 보유하게되면 내야하는 세금이 자동차세와 지방교육세가 있습니다. 통상 1년에 2번 납부하게 됩니다.
자동차를 타게되면 유지비용과 세금이 많이 나간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계실텐데요.
그럼에도 자동차를 꼭 사야겠다 싶으신 분들은 2020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혜택(30% 인하)을 꼭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지금이 자동차 세금 감면 헤택을 받을 최적기인것 같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 통해 감면 혜택 확인)
지금까지 자동차 개별소비세 및 자동차 세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블로그 통해 자동차 개별소비세 계산도 직접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청약 1순위 자격 (중요) (0) | 2020.07.09 |
---|---|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0) | 2020.07.05 |
일요일 약국 여는곳 찾기 (휴일지킴이 약국) (0) | 2020.07.05 |
한국감정원 청약홈 (아파트투유 홈페이지 청약) (0) | 2020.06.25 |
댓글